6.29(목) 역시 후덥지근하고 맑은 날
고궁박물관 및 충열사(국립현충원) 참배 (근무교대식 관람)
점심식사 후 면세점 방문, 공항이동 출발
여행기간 나흘동안 101빌딩 전망대에 있는 동안 비가 내리기는 했지만 나올때는 그쳐 비 안맞고 여행할 수 있었던 건 큰 행운이다. 매일 12,000보 넘게 많이 다니긴 했어도 집떠나면 힘든게 여행이다. 귀국해서 지나고 보면 힘들었던 것은 잊혀지게 되고 인상적으로 보고 느꼈던 것만 결국 남게 되지 않겠나 싶다
마지막날은 비교적 가벼운 일정으로 오전에 박물관 관람하고 오후에 면세점 방문 후 공항으로 이동이다.
한국과의 외교관계는 '92년도 단교 이후 대사관 영사관이 없고 주재관 정도 유지하고 있다.
● 고궁박물관
대영박물관, 루부르박물관, 뉴욕메트로폴리탄박물관 등과 함께 세계 4대박물관 중 하나라고 한다.
현재는 3만정 정도 늘어 72만점.
외국에서 경매받아 늘어난 유물이 3만여점
<3가지 유형의 유물>
-古: 본토에서 이송해온 유물
-贈: 이후에 기증받은 유물
-買 경매낙찰 받아온 것
4대 황실, 宋 元 明 淸나라 유물이 다 있다.
북경에서 상해로 1차 이송되었다가 대만으로 이동해 왔다.
현재 전시된 보물은 5,600점 정도.
3개월마다 순환전시하며 다 보려면 8년여 소요.
<필수관람 4가지>
1) 옥으로 만든 배추
*취옥백채(중국어: 翠玉白菜, 병음: Cuìyù Báicài) 또는 벌레가 있는 취옥백채는 경옥을 이용하여 여치와 메뚜기가 숨겨져 있는 배추를 표현한 조각
2) 서태후 옥병풍
3) "광둥 누조 상아 운룡문 투구"
*상아조각 조성에 100년 소요.
맨위의 공 내부, 또 그 내부에 움직이는 공이 점점 작게 차례로 17개 조각.
4) 수육모양 자연석 (肉形石)
●보물 1: 옥배추
옥 배추 청나라때 유물 조각에 50년 소요
옥은 하늘과 인간의 중간위치로 인식
옥은 강도가 높아 가공이 어렵다
옥의 德 : 황실이 집기. 정회작용 한다
취옥백채
"돈많이 버세요" (파 차이)
배추 발음 (바이 차이) 비슷한 이유도.
거의 모든 사장 책상위에는 '옥배추'를
잎이 바깥으로 향하게 둔다.
돈 들어오라고.
퇴근때는 잎이 안으로 향하게 바꾼다. 들어온 돈이 나기지 않게.
사장이 퇴근했는지 짐작하는 표식이 되기도 한다.
● 보물 2: 서태후 옥병풍
※漢族이 아닌 이민족의 지배가 두번(몽고의 원나라, 만주의 청나라) 있었다는데 1,000여년 이전에 동이족이 중원의 중심무대였던 시대까지는 언급되지 않는것 같다.
서태후는 17세에 궁녀로 입궁한다. 황제(한풍제) 6왕후에게 자녀가 전혀 없어 황제가 문제가 있나 했는데 서태후가 18세에 황제의 성은을 입고 곧바로 회임하여 큰 사랑을 받는다.
24세에 황제 사망.
2살 아들이 황제되고 서태후가 정권을 행사하며 '수렴청정'한다. 아들이 18세 되어 권력 넘겨야 하나 성병으로 사망(서태후의 계략으로 평가된다).
5세인 조카를 다음 황제로 내세우고 권력 계속 행사한다. 황제와 서태후 사이에 병풍을 세우고 모든 결심을 서태후가 뒤에서 조정한다. 바로 그 옥병풍이 보물이다.
청일전쟁시 황제가 전쟁터로 출정했는데 전투병 5만명을 회수하여 이화원 인공호수 조성사업에 투입하여 황제가 전쟁에서 이기고 개선하지 못할 여건을 만든다.
황제의 전쟁패배 책임을 물어 처형하며 48년간 권력을 유지한다.
손문선생이 1911년 신해혁명으로 중화민주공화국을 건설할 때까지.
서태후 옥병풍
둘 다 청나라 시대 유물.
● 보물 3: 肉形石
*중국의 4대 언어
-북경어
-광동어
-홍콩어
-대만어
4성, 6성, 8성 많이 다르다.
숫자 세는법 조차 다르다.
중국인이 선호하는 숫자는 8
'비휴' 기념품 선호
(옥황상제가 상상동물 4가지로 만든 동물 ㅡ 비휴(용의 머리, 봉황의 날개, 사자몸, 기린꼬리.
너무 기고만장함에 따라 벌칙으로 옥황상제가 항문 막아버림)
먹기만 하고 배설 않는 가상 동물로
돈이 들어와서 나가지 말라고...
여러 문화에 돈이 많이 들어오게 하는 문화들이 유난히 많음을 느낀다.
대만 육사 출신 소위 초봉 200만원 수준으로 기업체 부장급 정도 된다.
군복무는 의무복무.
기간은 10개월
노인연금 65세 이상 8천元 정도
세계에서 가장 사용편리한 글자가 한글이다.
어떤 소리도 표시 가능하고 배우기 쉬우며 정보화시대에 적합하고 특히 휴대폰 문자멧세지 무척 빠르다.
한자는 여러단계 거치며 시간걸림.
*중국인이 평생 다 못하는 3가지
1) 여러 중국 음식 먹어보기
2) 여기저기 다 못가본다
3) 그 많은 글자 다 모른다. 5만자, 외래어까지 계속 새로 만들어진다
고졸이면 3천자 쓰고 5천자 읽는 수준
청동으로 5가지 활용
수기, 주기, 병기, 악기
당나라시대 미인 - '양귀비'
지금의 미인 기준과는 전혀 달리 당시엔 몸집이 통통하고 이목구비가 오밀조밀한 여인을 미인으로 꼽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당나라 당시에는 전쟁이 잦아 생활이 궁핍함에 따라 살찐 사람이 귀티가 나는 미인이지 않았겠나 싶다. 당시의 미인 조각을 보면 양귀비도 이와 비슷한 용모가 아니었을까?
도자기 : 도기+자기
토기 : 700도에서 구운 것.
도기: 1,300도에서 구운 것
자기; 1,500도 이상에서 구운 것
유약 바르고 안바르고의 차이
송나라 백자
동자벼개 낮잠용, 자손번창 상징.
송나라시대 도자기 한점을
영국 경매에서 300억원에 매입해 왔다 한다.
황제가 무게를 물었다.
신하들이 고민 중
어린 황세자가 싑게 풀었다.
대신 돌을 같은 정도로 실어 돌 무게 측정으로
침대맡에 두는 3가지 물건
전심병 3가지 전시품 중에
둥근 형 지구의 모형의 용도는 뭘까?
올해는 불교문화재 전시기간.
불감훼상 효지시야'
중국여인 대부분 겨털 안깍고 남자들 포경수술도 않는다.
●충열사 참배
항일, 국공내전 순국자 4,500위패 봉안한 국립현충원.
12시 근위병 교대식 참관하고 충열사 참배.
6전대 금문도에 주로 근무하고
자부심 대단하다
택시는 토요타가 현대와 경쟁하여 낙찰.
한국차 스타렉스 인기 4,700만원
벤츠 BMW 볼보 등 국내용으로 자체 생산
차는 비싸고 연료는 싸다
●점심식사: 몽고식 샤브
●오후에 면세점 방문
대만옥 제품, 게르마늄 팔찌
평리수 케잌 등
고궁박물관 및 충열사(국립현충원) 참배 (근무교대식 관람)
점심식사 후 면세점 방문, 공항이동 출발
여행기간 나흘동안 101빌딩 전망대에 있는 동안 비가 내리기는 했지만 나올때는 그쳐 비 안맞고 여행할 수 있었던 건 큰 행운이다. 매일 12,000보 넘게 많이 다니긴 했어도 집떠나면 힘든게 여행이다. 귀국해서 지나고 보면 힘들었던 것은 잊혀지게 되고 인상적으로 보고 느꼈던 것만 결국 남게 되지 않겠나 싶다
마지막날은 비교적 가벼운 일정으로 오전에 박물관 관람하고 오후에 면세점 방문 후 공항으로 이동이다.
한국과의 외교관계는 '92년도 단교 이후 대사관 영사관이 없고 주재관 정도 유지하고 있다.
● 고궁박물관
대영박물관, 루부르박물관, 뉴욕메트로폴리탄박물관 등과 함께 세계 4대박물관 중 하나라고 한다.
현재는 3만정 정도 늘어 72만점.
외국에서 경매받아 늘어난 유물이 3만여점
<3가지 유형의 유물>
-古: 본토에서 이송해온 유물
-贈: 이후에 기증받은 유물
-買 경매낙찰 받아온 것
4대 황실, 宋 元 明 淸나라 유물이 다 있다.
북경에서 상해로 1차 이송되었다가 대만으로 이동해 왔다.
현재 전시된 보물은 5,600점 정도.
3개월마다 순환전시하며 다 보려면 8년여 소요.
<필수관람 4가지>
1) 옥으로 만든 배추
*취옥백채(중국어: 翠玉白菜, 병음: Cuìyù Báicài) 또는 벌레가 있는 취옥백채는 경옥을 이용하여 여치와 메뚜기가 숨겨져 있는 배추를 표현한 조각
2) 서태후 옥병풍
3) "광둥 누조 상아 운룡문 투구"
*상아조각 조성에 100년 소요.
맨위의 공 내부, 또 그 내부에 움직이는 공이 점점 작게 차례로 17개 조각.
4) 수육모양 자연석 (肉形石)
●보물 1: 옥배추
옥 배추 청나라때 유물 조각에 50년 소요
옥은 하늘과 인간의 중간위치로 인식
옥은 강도가 높아 가공이 어렵다
옥의 德 : 황실이 집기. 정회작용 한다
취옥백채
"돈많이 버세요" (파 차이)
배추 발음 (바이 차이) 비슷한 이유도.
거의 모든 사장 책상위에는 '옥배추'를
잎이 바깥으로 향하게 둔다.
돈 들어오라고.
퇴근때는 잎이 안으로 향하게 바꾼다. 들어온 돈이 나기지 않게.
사장이 퇴근했는지 짐작하는 표식이 되기도 한다.
● 보물 2: 서태후 옥병풍
※漢族이 아닌 이민족의 지배가 두번(몽고의 원나라, 만주의 청나라) 있었다는데 1,000여년 이전에 동이족이 중원의 중심무대였던 시대까지는 언급되지 않는것 같다.
서태후는 17세에 궁녀로 입궁한다. 황제(한풍제) 6왕후에게 자녀가 전혀 없어 황제가 문제가 있나 했는데 서태후가 18세에 황제의 성은을 입고 곧바로 회임하여 큰 사랑을 받는다.
24세에 황제 사망.
2살 아들이 황제되고 서태후가 정권을 행사하며 '수렴청정'한다. 아들이 18세 되어 권력 넘겨야 하나 성병으로 사망(서태후의 계략으로 평가된다).
5세인 조카를 다음 황제로 내세우고 권력 계속 행사한다. 황제와 서태후 사이에 병풍을 세우고 모든 결심을 서태후가 뒤에서 조정한다. 바로 그 옥병풍이 보물이다.
청일전쟁시 황제가 전쟁터로 출정했는데 전투병 5만명을 회수하여 이화원 인공호수 조성사업에 투입하여 황제가 전쟁에서 이기고 개선하지 못할 여건을 만든다.
황제의 전쟁패배 책임을 물어 처형하며 48년간 권력을 유지한다.
손문선생이 1911년 신해혁명으로 중화민주공화국을 건설할 때까지.
서태후 옥병풍
둘 다 청나라 시대 유물.
● 보물 3: 肉形石
*중국의 4대 언어
-북경어
-광동어
-홍콩어
-대만어
4성, 6성, 8성 많이 다르다.
숫자 세는법 조차 다르다.
중국인이 선호하는 숫자는 8
'비휴' 기념품 선호
(옥황상제가 상상동물 4가지로 만든 동물 ㅡ 비휴(용의 머리, 봉황의 날개, 사자몸, 기린꼬리.
너무 기고만장함에 따라 벌칙으로 옥황상제가 항문 막아버림)
먹기만 하고 배설 않는 가상 동물로
돈이 들어와서 나가지 말라고...
여러 문화에 돈이 많이 들어오게 하는 문화들이 유난히 많음을 느낀다.
대만 육사 출신 소위 초봉 200만원 수준으로 기업체 부장급 정도 된다.
군복무는 의무복무.
기간은 10개월
노인연금 65세 이상 8천元 정도
세계에서 가장 사용편리한 글자가 한글이다.
어떤 소리도 표시 가능하고 배우기 쉬우며 정보화시대에 적합하고 특히 휴대폰 문자멧세지 무척 빠르다.
한자는 여러단계 거치며 시간걸림.
*중국인이 평생 다 못하는 3가지
1) 여러 중국 음식 먹어보기
2) 여기저기 다 못가본다
3) 그 많은 글자 다 모른다. 5만자, 외래어까지 계속 새로 만들어진다
고졸이면 3천자 쓰고 5천자 읽는 수준
청동으로 5가지 활용
수기, 주기, 병기, 악기
당나라시대 미인 - '양귀비'
지금의 미인 기준과는 전혀 달리 당시엔 몸집이 통통하고 이목구비가 오밀조밀한 여인을 미인으로 꼽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당나라 당시에는 전쟁이 잦아 생활이 궁핍함에 따라 살찐 사람이 귀티가 나는 미인이지 않았겠나 싶다. 당시의 미인 조각을 보면 양귀비도 이와 비슷한 용모가 아니었을까?
도자기 : 도기+자기
토기 : 700도에서 구운 것.
도기: 1,300도에서 구운 것
자기; 1,500도 이상에서 구운 것
유약 바르고 안바르고의 차이
송나라 백자
동자벼개 낮잠용, 자손번창 상징.
송나라시대 도자기 한점을
영국 경매에서 300억원에 매입해 왔다 한다.
황제가 무게를 물었다.
신하들이 고민 중
어린 황세자가 싑게 풀었다.
대신 돌을 같은 정도로 실어 돌 무게 측정으로
침대맡에 두는 3가지 물건
전심병 3가지 전시품 중에
둥근 형 지구의 모형의 용도는 뭘까?
올해는 불교문화재 전시기간.
불감훼상 효지시야'
중국여인 대부분 겨털 안깍고 남자들 포경수술도 않는다.
●충열사 참배
항일, 국공내전 순국자 4,500위패 봉안한 국립현충원.
12시 근위병 교대식 참관하고 충열사 참배.
6전대 금문도에 주로 근무하고
자부심 대단하다
택시는 토요타가 현대와 경쟁하여 낙찰.
한국차 스타렉스 인기 4,700만원
벤츠 BMW 볼보 등 국내용으로 자체 생산
차는 비싸고 연료는 싸다
●점심식사: 몽고식 샤브
●오후에 면세점 방문
대만옥 제품, 게르마늄 팔찌
평리수 케잌 등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염경보 속의 4일 연속 골프경기 (0) | 2017.07.28 |
---|---|
고대ICP 8기 엔젤 하계연수 (0) | 2017.07.12 |
3일차 야류공원, 101타워 - 6.28 (0) | 2017.07.03 |
대만 성지순례 3일차 - 6.28 (0) | 2017.07.03 |
대만성지순례 2일차 (0) | 2017.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