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7(일) 1030~

육해공군 최선임 법사 정우법사, 원광사 초청법회 법문 요약

2년여만에 원광사법문 기회가 된다.

원광사불상에는 몇가지 특이한 모습이 있다.
1)불상이 연꽃 좌대 위에
2)수인의 모습
3)우측어깨 가사
4)머리카락

1) 연꽃좌대: 어찌 부처님이 가녀린 연꽃위에 앉아 계실 수 있을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심신청정'으로 새털같은 청정심을 가진 부처님을 의미한다. '물질공간'에서는 중력이 작용하지만 '마음공간, 즉 진여세계'에서는 시간, 공간이라 할 것도 없고 오직 '現今, 즉 now & here'밖에 없다.

2)수인의 모습
일반적 불상의 수인은 부처님이 깨달으신 당시의 '항마' 모습으로 우측손바닥이 땅을 향하게 조성되는데 원광사 불상은 설법하시는 수인으로 우측손바닥이 위로 향하고 있다. 군불교와 포교의 중심도량으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3)우측어깨 가사
원래 인도는 더운 지방이라 부처님의복도 가사만 왼쪽어깨에 걸쳤을 것이니 우측 어깨와 가슴이 다 노출되는 것이 맞을텐데 4계절 추위가 있는 당나라를 거치고 성리학의 영향으로 살짝 가려주는 모습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가사도 쓰레기통에 버려진 옷들을 조각조각 꿰메어 만들었고 여러색깔을 회색으로 물들여 입었다고 한다.

4)머리카락
부처님은 삭발을 하셨는데 불상에는 머리카락이 동글동글하게 조성되어 있다. 불상이 처음 조성된 곳은 어디였을까? 놀랍게도 그리스였다. 알렉산더대왕의 인도침략으로 간다라문화와 서양의 헬레니즘문화가 혼합되면서 그리스인 조각가가 여러 신들의 모습을 조각하면서 부처님도 여러 神 중에 하나로 조성하면서 머리카락을 서양인들처럼 곱슬곱슬하게 조성한 것이라고 한다. 사천왕상 역시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모습으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신분의 상징 구분

지금도 신분을 상징하는 여러 모습들 중에 입은 옷과 타는 차, 사는 집의 지역과 평수, 장신구 등으로 나타나는데 예전에는 머리의 모습으로 많이 나타내었고 지금도 중동지역에는 머리의 터반에 따라 직급이나 신분이 구분되고 있다. 부처님은 출가당시에 그 모든 높은 신분을 다 버리고 삭발까지 하여 태자와 왕궁을 떠나  들판으로 구도의 길을 나서셨다.

찡그린 얼굴은 쓰레기통 같고
미소짓는 얼굴은 꽃과 같다

다음번 법문 예고:
'부처님의 탄생게 & 열반송'

환영 꽃다발 증정

탈북대학생에게 수여하는 원광사 108장학금 취지를 이도이대령(예)이 설명

예불연 박정이회장이 2명에게 장학금 전달

합창단 음성공양

정근 및 축원

예불연 기념촬영

3형제와 큰아들이 법회에 동참

※대령 이정우법사 육군군종감 취임행사 안내
-일시: 2019.11.8(금) 13:30
-장소: 계룡대 소연병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