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적 고향에서 부친따라 묘사지내러 걸어다닌 길은 무척 멀었다. 신작로따라 20여리를 걸어 산길 고개를 몇개나 넘었다. 길 옆의 보리밭은 겨울에도 파랗고 얼음이 솟아올라 있었던 것 같다. 음력10월 중순이었는데 왜 그리 손발도 시리고 추웠는지. 고무신에 장갑도 없었고 보온되는 옷이 아니었으니 추웠던 기억만 남아있다. 그 동네는 全氏 집성촌이었고 그 중 어느집에서 자고 다음날 아침에 일찍 제물을 지게에 지거나 보자기에 싸들고 산을 한참이나 올라가 제일 윗대 할아버지 묘사를 시작으로 이산 저산 묘소마다 다니며 대여섯군데 묘사를 지냈다.

집성촌에 이제는 전씨가 몇집 안남아 벌초와 묘사지낼 여건이 어려워짐에 따라 7년 전에 산기슭 차량 진입 가능한 자리를 잡아 합제단에 15대 선조로부터 8대 선조까지 18분의 선조를 한 자리에 설단하고 기존의 이산 저산 묘소와 비석, 상석 등은 그대로 자연으로 가게 두었다. 벌초와 묘사지낼 여건이 좋아지니 해마다 70여명의 후손들이 모인다. 음력 10월 10일이 지난 첫 토요일 저녁에 마을 재실에 모여 준비를 해서 일요일 오전 10시에 모신다.

올해는 11월13일(일) 당일 새벽, 수지 집에서 출발하여 다녀왔다. 교통수단이 좋으니 가능한 일이었다. 예전에 '마이카시대', '전국 1일 생활권' 등의 말들이 그냥 구호이겠거니 했었는데 이젠 당연한 현실이 되었다. 빠르게 다니니 시간여유가 더 많아졌어야 하는데 오히려 더 바쁘게 살기는 하지만 여하튼 예전에 엄두도 못낼 일들을 지금은 할 수 있게 되기는 했다. 하루가 이처럼 길 수도 있구나 싶다.

윗대 합제단 묘사 후에 각 소문중별로 묘사에 나선다. 우리는 7대조 이하 부친 세대까지 7대 24분의 합제단으로 가서 묘사를 올렸다. 자녀세대가 한명도 동참하지 않으니 언제까지 이런 전통이 이어져갈런지 모르지만 우리시대의 소임을 우리가 하면 자녀세대에서는 그들의 문화와 여건에 맞게 해나가지 않겠나 싶다.

묘소들마다 야생멧돼지 피해가 심해 여러 방책을 고심 중에 있다.

비어있는 고향집에 들러 마당 잡초제거, 집 안밖 간단히 정리. 대구로 가서 처제 내외와 포항으로 이동, 큰처남 댁에 장모님과 11명의 처가댁 가족들이 모여 장인어른 3주기 제사 모시고 헤어져 출발. 동대구역에 가서 KTX편으로 천안아산역 도착, 주차해둔 차편으로 자정이 넘어 집에 도착.

이제는 집안마다 명절제사, 기제사, 벌초, 묘사, 그리고 선산 묘소 조성 및 관리방법 등이 시대추세와 여건에 맞게 조정되어 시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누군가 전통을 보존, 실천하고 있지 않으면 유형, 무형의 문화유산이라 할것도 없이 사라지고 말 것이다.

조상 묘사만 해도 연 8~9회 참여는 기본이 되고 있다. 10월3일의 전씨시조 단소 시향제, 정선군 시제, 경산 파시조 추향, 고향 선산 대문중 및 소문중 합제단 묘사, 한식다례, 추석 및 설명절 성묘 등 참 많기도 하지만 관심 가지면 다 참여되고 관심없이 살아도 또 그만이기는 하다. 그래도 누군가는 실천하고 있는 덕분에 문화전통은 이어져 가게 되는 것이리라. 수많은 전란과 심지어 일제강점기에 한민족정신을 말살하려는 집요한 정책에도 끊이지 않고 이어진 것은 민간에서 실천되어 온 덕분 아니겠는가?

어물어물 하다보면 하루의 시간이  금방 지나가 버리기도 하지만 잘 활용하면 무척 길기도 하다. 한평생도 지나고 보면 꿈같이 흘러갔다고 느끼듯이 그렇지 않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