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 단체참가 후에 매번 모이는 뒤풀이장소에 공선배께서 여유로운 모습으로 들어오신다.
"축하드립니다.
오늘 몇회 되십니까?"
"559회째야."
가까운 뒷산 산책 다녀오듯 여유롭다.
작년말에 100회 완주한 후배가 들어오며 한마디 한다.
"마라톤 힘들어 그만뛸까 봐요."
그냥 하는 말이긴 하지만 어찌 힘들지 않겠는가?
11월27일에 200회 완주일정을 잡아늫고 계신 정선배님은 앞으로 매주 뛰어야 횟수를 맞춘다. 100회 이후 3년정도 걸렸으니 매년 30회 정도 뛴 셈이다. 지금 79세인데 앞으로 300회를 달성할 수 있을런지 모르겠다 하신다.
올 2월에 500회 완주하신 공선배님은 지난여름 혹서기에도 빠지지 않고 매주 2회 완주하셨다. 내년이면 600회 달성하실 것 같다.
똑같은 길을 달리지만 무척 힘든 사람도 있고 여유로운 사람도 있다. 길 탓도 운동화나 복장 탓도 아니다. 재산이나 직급이 행복의 척도가 아닌 것과 같다 할 것이다. 동호회장인 나를 대신해 어느 회원이 한발자국도 뛰어줄 수는 없다. 내 삶을 나 대신 살아줄 수 없는 것처럼 그렇다. 내 체질과 훈련정도에 따라 힘들거나 즐겁거나의 차이가 된다. 현역시절에 100km 울트라마라톤 준비할 때는 연습코스가 42km, 63km였다. 풀코스 정도는 훈련과정으로 뛰었다. 골인 후 힘들어서야 또 어찌 풀, 하프코스를 더 뛸 수 있나?
중앙서울마라톤은 1999년 첫 대회 개최이래 동아, 조선과 함께 참가자수 3대 대회이다. 해마다 11월 첫 일요일에 잠실 종합운동장을 출발하여 송파지역을 이리저리 돌아 되돌아오는 대회로 이번에는 17,000여명이 참가했다. 올해는 타 행사가 겹쳐 10km코스에 참가했다. 79세인 육사 10년선배 두분과 타 회원들은 모두 풀코스를 뛰는데 회장이 짧은코스 뛰기가 민망했지만 사정이 부득이했다.
그래도 여전히 세계적 메이저대회로 불리는 보스톤, 뉴욕, 시카고, 런던, 베를린, 도쿄 등은 참가기회가 어려울 정도로 성황을 이룬다. 특히 도쿄는 대회개최 10년정도만에 메이저대회가 되었다 한다. 코스 내내 길 양쪽에 시민들이 빼곡히 응원을 보내주는 광경에 참가자들이 감동을 받을 정도란다. 지난 9월 베를린마라톤에 다녀오신 정선배 내외분은 900여만원 비용으로 동유럽여행을 포함하여 다녀오셨다. 메이져대회 다음 수준이 골드라벨, 실버라벨, 브론즈라벨대회로 국제육상연맹에서 매년 대회후 평가를 통해 인증을 해준다.
삶은 예행연습이 없고 되돌릴 수도 없는 '一期一會'이다. 그런데 어려움은 여러 과정을 통해 미리 체험해볼 수 있고 면역력과 극기력을 키울 수 있다. 여기 아니라도 색다른 체험을 할 무수한 기회가 많지만 몸과 마음을 함께 수련하면서 작은 성취를 얻어가는 좋은 기회가 마라톤이다. 어려움에 맞서는 용기와 달릴 수 있는 몸의 여건이 되는 것 만으로도 얼마나 감사할 일인가?
"축하드립니다.
오늘 몇회 되십니까?"
"559회째야."
가까운 뒷산 산책 다녀오듯 여유롭다.
작년말에 100회 완주한 후배가 들어오며 한마디 한다.
"마라톤 힘들어 그만뛸까 봐요."
그냥 하는 말이긴 하지만 어찌 힘들지 않겠는가?
11월27일에 200회 완주일정을 잡아늫고 계신 정선배님은 앞으로 매주 뛰어야 횟수를 맞춘다. 100회 이후 3년정도 걸렸으니 매년 30회 정도 뛴 셈이다. 지금 79세인데 앞으로 300회를 달성할 수 있을런지 모르겠다 하신다.
올 2월에 500회 완주하신 공선배님은 지난여름 혹서기에도 빠지지 않고 매주 2회 완주하셨다. 내년이면 600회 달성하실 것 같다.
똑같은 길을 달리지만 무척 힘든 사람도 있고 여유로운 사람도 있다. 길 탓도 운동화나 복장 탓도 아니다. 재산이나 직급이 행복의 척도가 아닌 것과 같다 할 것이다. 동호회장인 나를 대신해 어느 회원이 한발자국도 뛰어줄 수는 없다. 내 삶을 나 대신 살아줄 수 없는 것처럼 그렇다. 내 체질과 훈련정도에 따라 힘들거나 즐겁거나의 차이가 된다. 현역시절에 100km 울트라마라톤 준비할 때는 연습코스가 42km, 63km였다. 풀코스 정도는 훈련과정으로 뛰었다. 골인 후 힘들어서야 또 어찌 풀, 하프코스를 더 뛸 수 있나?
중앙서울마라톤은 1999년 첫 대회 개최이래 동아, 조선과 함께 참가자수 3대 대회이다. 해마다 11월 첫 일요일에 잠실 종합운동장을 출발하여 송파지역을 이리저리 돌아 되돌아오는 대회로 이번에는 17,000여명이 참가했다. 올해는 타 행사가 겹쳐 10km코스에 참가했다. 79세인 육사 10년선배 두분과 타 회원들은 모두 풀코스를 뛰는데 회장이 짧은코스 뛰기가 민망했지만 사정이 부득이했다.
그래도 여전히 세계적 메이저대회로 불리는 보스톤, 뉴욕, 시카고, 런던, 베를린, 도쿄 등은 참가기회가 어려울 정도로 성황을 이룬다. 특히 도쿄는 대회개최 10년정도만에 메이저대회가 되었다 한다. 코스 내내 길 양쪽에 시민들이 빼곡히 응원을 보내주는 광경에 참가자들이 감동을 받을 정도란다. 지난 9월 베를린마라톤에 다녀오신 정선배 내외분은 900여만원 비용으로 동유럽여행을 포함하여 다녀오셨다. 메이져대회 다음 수준이 골드라벨, 실버라벨, 브론즈라벨대회로 국제육상연맹에서 매년 대회후 평가를 통해 인증을 해준다.
삶은 예행연습이 없고 되돌릴 수도 없는 '一期一會'이다. 그런데 어려움은 여러 과정을 통해 미리 체험해볼 수 있고 면역력과 극기력을 키울 수 있다. 여기 아니라도 색다른 체험을 할 무수한 기회가 많지만 몸과 마음을 함께 수련하면서 작은 성취를 얻어가는 좋은 기회가 마라톤이다. 어려움에 맞서는 용기와 달릴 수 있는 몸의 여건이 되는 것 만으로도 얼마나 감사할 일인가?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묘사의 전통과 추억 (1) | 2016.11.22 |
---|---|
한민족의 민족정신이 녹아있는 '경전'이 있을까? -천부경- (2) | 2016.11.20 |
새 단풍 헌 단풍 (1) | 2016.11.19 |
창덕궁후원 단풍잎에 내려앉은 시간과 공간 (0) | 2016.11.05 |
지하철에서 만난 90세 마라토너 (0) | 2016.10.24 |